대전소식포스트

대전충청 NO1 NEWS

문화.여행

강화 천도시기의 고려왕릉, 드라마 무인시대 희종

강화 천도 시기의 고려왕릉

강화도를 무대로 한 역사 가운데, 가장 강렬하고 인상적인 시기를 꼽으라면 단연 대몽항쟁 시기를 들 수 있다. 당시 고려는 강화도를 소도(小都)로 삼는 조치를 취했는데, ‘신동국여지승람’을 보면 이 시기를 ‘강도 (江都)’로 명명하고 있다. 이로써 강화도는 38년간 고려의 수도로서의 기능을 했고, 강화도에 고려의 흔적들이 남겨지는 배경이 되었다.

특히 이 시기를 상징적으로 보여주는 문화재를 이야기하라면 단연 ‘고려왕릉’을 들 수 있다. 흔히 왕릉은 왕은 왕이나 왕비, 대비 등이 묻힌 고분을 말하는데, 왕릉은 단순한 고분이 아닌 당시의 정치, 사회, 철학, 기술 등이 총 집약된 역사의 축소판이다. ‘조선왕조실록’을 보면 1818년 개성유수 조종영이 고려 왕릉에 대한 조사 사실을 아뢰게 되는데, 이 때 개경과 장단, 풍덕, 강화, 고양 등에 고려왕릉이 57릉이 있다고 보고하고 있다. 따라서 조선시대에도 고려 왕릉에 대한 조사와 관리가 이루어졌음을 알 수 있다.

고려 왕릉의 대다수는 옛 고려의 수도인 개성(개경) 인근에 위치해 있어 접근 자체가 어려운 곳이다. 이런 이유로 강화도에서 볼 수 있는 고려왕릉은 조금 더 특별한 의미로 다가온다. 이처럼 강화도에 고려 왕릉이 위치하고 있는 것은 섬이라는 지형적인 특징이 한몫했다. 이러한 영향으로 평상시 강화도는 유배지로 활용이 되었고, 대몽항쟁 기간 중에는 수도로서 활용이 될 수 있었다. 현재까지 강화도에는 희종의 ‘석릉(碩陵)’을 비롯해 고종의 ‘홍릉(洪陵)’, 원턱태후 유씨의 ‘곤릉(坤陵)’과 순경태후 김씨의 ‘가릉(嘉陵)’등 총 4기의 고려 왕릉이 확인되고 있다.

그런데 ‘고려사’의 기록을 보면 강화 천도를 단행할 때 고려 태조 왕건의 ‘현릉(顯陵)’과 그의 아버지이자 추존 왕인 왕륭(세조)의 ‘창릉(昌陵)’의 재궁이 함께 옮겨졌다. 또한 조선의 종묘 격인 ‘태묘(太廟)’가 함께 옮겨진 것은 강화 천도의 결정판으로, 이는 장기적인 대몽항쟁의 의지를 드러낸 것이라고 할 수 있다. 

이후 1276년 긴 항쟁 끝에 고종은 태자 왕정(=원종)을 몽골로 보내 화의가 이루어져 고려의 국체를 유지할 수 있었다. 이에 따라 고려 조정은 강화도에서 개경으로 환도하게 되는데, 이때 자연스럽게 ‘현릉릉’과 ‘창릉’역시 제자리로 돌아오게 되고, ‘태묘’ 역시 개경으로 옮겨졌다.

이처럼 강화 천도 당시 세조와 태조의 능을 옮긴 것은 시신의 탈취를 막기 위한 것으로, 이는 과거 고구려의 사례를 통해 유추할 수 있다. ‘삼국사기’를 보면 고국원왕 때 연나라가 침입해 미천왕의 능을 파헤쳐 그 시신과 왕의 생모를 데려간 일이 있었다. 당시 고구려는 미천왕의 시신과 왕의 생모를 돌려받기 위해 스스로 신하를 칭하며 저자세 외교로 일관했다. 따라서 세조와 태조의 능을 옮긴 것은 혹여나 몽골의 군대에 의해 그 시신이 훼손 혹은 탈취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것임을 알 수 있다.

한편 실전되어 그 위치를 알기 어렵지만 고종의 아버지인 강종의 ‘후릉(厚陵)’역시 강화도에 있었는데, ‘고려사’의 기록을 보면 고종의 재위 때에도 ‘후릉’은 여러 차례 도굴을 피하지 못했다. 또한 강화천도 기간 중 세상을 떠난 희종의 왕후 성평왕후(함평궁주) 임씨의 ‘소릉’ 역시 그 위치가 어디인지 알기 어려운 상황으로, 이와 관련해 강화군 내가면 황청리와 고천리의 경계에 있는 ‘소릉고개’가 과거 ‘소릉’이 있다고해서 붙여진 지명이라는 점은 참고해 볼 만하다.

무신정권을 다룬 드라마 중 하나인 사극 ‘무인시대’는 고려 의종부터 최충헌의 죽음에 이르는 무신정권 시대를 보여주었다. 당시 동아시아의 국제 정세는 몽골 세력의 확장이 두드러진 시기로, 최충헌의 아들인 최우의 집권 때 본격적인 몽골의 침입과 함께 강화도로의 천도가 이루어졌다. 그리고 이 때 재위하던 왕이 바로 고종이었다. 

[ 2003~2004년까지 KBS에서 방영했던 드라마 무인시대]

이처럼 백 년에 걸쳐 이루어진 무신정권의 집권 기간동안 고려의 왕은 그야말로 허수아비였다. 이를 상징적으로 보여주는 일들이 바로 무신정권 집권자들의 입맛에 따라 왕이 폐위된 사례로, 이 가운데 가장 극적이고 기억에 남을 만한 장면이 바로 희종의 폐위다.

희종 (재위 1204~1211)’의 ‘석릉’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무신정권(武臣政權)’의 이해가 필수적이다.

무신정권은 고려 의종 때 무신들의 난 이후 성립이 되어 권력을 장악했던 시기를 말한다. 무신정권 시기의 고려왕실을 살펴보면 무신들의 난 이후 ‘의종(재위 1146~1170)’이 폐위되고, 의종의 동생이 왕위에 오르니 이가 ‘명종(재위 1170~1197)’이다. 이후 무신정권 집권자의 변화에 따라 왕의 폐위가 반복되었는데, 그 대표적인 사례가 이의민을 죽이고, 정권을 장악한 최충헌의 사례다. 

최충헌은 집권 후 명종과 태자인 왕오를 폐위하고, 명종의 동생을 왕위에 올렸는데 이가 ‘신종(재위 1197~1204)’이다. 그리고 신종의 맏아들이 바로 희종이다. 하지만 당시 모든 실권은 최충헌이 가지고 있었기에 희종은 겉으로는 최충헌의 비위를 맞추며 왕위를 유지했지만, 이를 못 마땅하게 여겼다. 이에 따라 희종은 최충헌의 암살을 시도하는 위험한 도박을 감행했다.

‘고려사’를 보면 1211년 희종은 내시 왕준명 등과 함께 최충헌의 암살을 시도했지만, 결국 실패로 귀결되면서 역으로 최충헌에 의해 폐위되는 처지가 되었다. 이후 최충헌은 앞서 자신이 폐위시킨 명종의 태자 왕오를 왕으로 옹립했는데, 이가 강종이다.

그리고 ‘강종 (재위 1211~1213)’과 원덕태후 사이에서 태어난 아들이 고종이 되는 셈이니, 정말 무신정권의 이해가 없다면 강화 천도 시기의 고려왕릉을 이해하는데 어려움이 따른다고 할 수 있다.

폐위된 희종은 강화현으로 유배를 떠났다가 이내 자연도(영종도)로 옮겨졌다. 한 때 개경으로 돌아오기도 했지만, 복위 사건에 연루되어 다시 강화도로 유배되었다. 결국 대몽항쟁이 한창이던 1237년 ‘법천정사'(法天精舍)’에서 세상을 떠났고, 강화도에 석릉이 조성되는 배경이 되었다. 현재 희종의 석릉은 강화군 양도면 길정리에 소재하고 있는데, 과거 ‘조선고적도보’의 사진에 석릉이 등장한 바 있다.

석릉의 외형은 총 5단의 석축이 자리하고 있으며, 봉분은 8각 호석으로 둘러져있다. 봉분을 보호하기 위한 곡장은 돌로 쌓았으며, 훼손이 심한 석인상 1기와 2단에 비교적 온전한 석인상 1기가 배치되어 있다. 또한 4단의 경우 정자각이 있었던 곳으로 추정된다. ‘신증동국여지승람’의 기록을 보면 석릉이 “부의 남쪽 21리에 있다”고 기록하고 있어, 조선시대에도 피장자가 확인된 능이라는 것을 알 수 있다.